전체 글 (453) 썸네일형 리스트형 영어 표현 5 applicant (n.) 지원자 criteria (n.) 기준 (criterion의 복수형) notify (v.) 알리다, 통지하다 authorized (adj.) 권한을 부여받은, 인정받은 objective (adj.) 객관적인 prejudice (n.) 편견 what's more 더구나, 한 술 더 떠서 9차시 - 방정식의 해법 3 (1) 1. 에이킨 방법 1) 에이킨 방법이란? 고정점 반복법보다 수렴속도가 더 빠름 반복함수 g(x)가 미분 가능하고 그 도함수 g '(x)가 연속이라고 가정, 또한 x0로부터 시작해서 반복법으로 수열 x1, x2,⋅⋅⋅을 얻고 이 수열이 한 점 p로 수렴한다고 가정하면 이 점 p가 g(x)의 고정점 앞의 식에서 알 수 있는 것은 (n+1)번째 반복 과정은 n번째 반복 과정에서 일차적인 관계 이런 경우 수열 x1, x2, x3, ⋅⋅⋅은 p에 일차 수렴한다고 함. 식 g(x) = x^3-1에 en = p-xn을 대입하면 이것을 변형하면 을 얻음. 이 것을 p에 관해서 풀면 을 얻음. 이제 rn을 로 정의 평균값 정리에 의해서 되는 점 ρn이 x(n−1)과 xn 사이에 존재함. 그리고 위의 식을 대입하면 여기서.. 영어 표현 4 transit (n.) 교통 체계, 수송 recovery (n.) 회수 fumble (v.) (무엇을 찾느라고 손으로) 더듬거리다 tremendous (adj.) 엄청난, 대단히 큰 do away with ~을 버리다, 폐지하다 perspective (n.) 관점 worth a try 시도해볼 가치가 있는 8차시 - 방정식의 해법 2 (2) 3. 고정적 반복법 1) 고정점 반복법이란? 주어진 함수의 반복함수를 구하여 이 반복함수의 고정점을 찾아냄. 고정점을 찾아냄으로써 그 함수의 근을 구함. 여기서 고정점이란, 어떤 점 x가 g(x)=x를 만족할 때 x를 g(x)의 고정점이라 함. 이 공식을 써서 만들어지는 수열 x1, x2, x3, ...이 어떤 점 p로 수렴하고 g(x)가 연속이라 하면 p는 g(p)의 고정점이고, 이 p는 수열 x1, x2, x3, ...의 극한이므로 함수 f(x)의 근. 따라서 함수 g(x)의 고정점 p가 함수 f(x)의 근이 되므로 함수 f(x)의 근을 구하는 문제는 함수 f(x) = 0으로부터 x = g(x) 되는 함수를 찾아서 방정식의 근을 구하기 위해 방정식의 해, 즉 g(x)의 고정점을 찾음. 이 고정점을 찾.. 8차시 - 방정식의 해법 2 (1) 1. 할선법 1) 할선법이란? 미분을 사용하지않고 두 점의기울기를 통해점을 찾는 방법 이등분 법이나 가위치법에서는 함수 값이서로 반대의부호를 갖는 두 점을 찾아서 시작했으나 할선법에서는 근의 근방에 있는 임의의 두점 x0과x1을 시작점으로 취함 두 점 (x0,f(x0))과 (x1,f(x1))을 지나는 직선이 x축과 만나는 점 xc를 계산하는 방식이 할선법. xc가 구해지면 x1를 x0로 하고, xc를 x1로 하여 다시 식을 이용하여 계속 수정된 값을 구하는 방식이다. 주어진 [a, b]에서 a, b를 x0, x1으로 하여 반복식을 연속적으로 이용하여 근사 해를 계산하는 방법을 할선법 이라고 함. 2) 할선법 알고리즘 1. Set iteration=2 q0=f(p0), q1 = f(p)//p0=a,p1=b.. 7차시 - 방정식의 해법 1 (2) 3. 가위치기법 1) 가위치기법 이등분법의 수렴 속도를 개선한 것. 함수 f (x)가 구간(a, b)에서 연속이고 f (a) f (b) < 0이라고 가정 두 개의 시작점 p0 =a, p1=b (p0, f(p0))와 (p1, f(p1))을 연결하는 직선이 축 x1과 만나는 점을 p2라고 가정 이등분법의 수렴 속도를 개선한 것. 함수 f(x)가 구간(a, b)에서 연속이고 f (a) f (b) < 0이라고 가정 두 개의 시작점 p0 =a, p1 = b (p0, f(p0))와 (p1, f(p1))을 연결하는 직선이 축 x1과 만나는 점을 p2라고 가정 2) 가위치기법 알고리즘 3) 가위치기법으로 구하기 예제 f(x) = x^2 - 4 의 근사해를 [0,5]에서 가위치기법으로 구하여 보자 풀이 4. 수정 가위.. 7차시 - 방정식의 해법 1 (1) 1. 시작점 1) 시작점이란? 반복법으로 방정식의 근을 구하기 위해서 우선 대강 추측한 근사값 x0에서부터 시작해서 차례로 x1 ,x2 ,x3 ....를 구해 나가는 기법으로 x0을 시작점이라고 함. 시작점 x0을 어떻게 잡느냐에 따라 x1, x2, x3.....가 근에 수렴하는 속도가 빠를 수도 있고 느릴 수도 있으며, 발산하는 경우도 있음. x0가 근에서 멀리 떨어져 있는 값이면 x100을 근으로 취하더라도 큰 오차의 가능성 즉, 가능한 한 주어진 함수의 성질을 이용하여 근에 가까운 시작점 x0을 잡는 것이 바람직함. ※ 시작점을 왜 구하여야 하는가? 반복법이란 어떤 정해진 과정을 차례로 되풀이하여 구하는 방법 우선 시작점 x0로 부터 시작하여 점 x1, x2, x3...를 정해진 방법으로 구하여 최.. 영어 표현 3 misconduct (n.) 위법 행위, 부당 경영 dramatic (adj.) 극적인 deny (v.) 부인하다, 부정하다 hostage (n.) 인질 detain (v.) 구금하다, 억류하다 interrogate (v.) 심문하다, 취조하다 for the purpose of ~의 목적으로 이전 1 ··· 39 40 41 42 43 44 45 ··· 5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