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조사 수행 방법
1. 정량조사
비교적 조사 문제가 명확할 때 수행하게 되며 기술조사, 인과관계조사가 이에 해당. 특히 기술조사에 서는 다양한 수단을 통한 서베이법을 활용하는 것이 일반적. 양적조사는 정형화된 질문을 다수에게 조사하여 통계 적 방법으로 분석하게 되며 또한 다수를 조사했기 때문에 분석 결과의 일반화가 비교적 용이함.
2. 정성조사
조사 문제가 불명확할 때 수행되는 것이 일반적. 조사 문제를 규명하기 위한 탐색조사에서 많이 활용. 질적 조사의 대표적인 자료 수집 방법은 집단심층면접법(Focus Group Interview), 개별심층면접법 (In-depth interview) 등과 같이 비정형화된 형태의 방법이 주로 사용됨. 조사 대상은 소수가 되며 조사 결과를 일반화하기는 어렵지만 소수에 대해 심층적인 분석이 가능.

2. 정량조사 수행방법
1. 개별 면접 조사(Face-to-Face Interview)
가장 많은 목적에 이용할 수 있으며 융통성이 큼. 특히 보조자료를 활용해야 하거나 면접과 동시에 관찰도 필요할 때 많이 사용.
2. 전화 조사(Telephone Interview)
시각자료를 활용해야 하거나, 설문지가 긴 경우, 응답자 및 응답자 환경을 관찰해야 하는 경우에는 부적합하지만 신속하게 조사 완료되는 장접 때문에 많이 활용.
3. 우편 조사(Post Interview)
설문지 및 협조서신, 발송봉투 등을 등봉하여 조사하는 방법. 모든 유형의 사람과 모든 지리적 범위를 대상으로 하는 경우 많이 사용.
4. 출구 조사(Exit Survey)
주로 선거 등의 결과 예측에 많이 활용, 투표소에서 투표를 막 마치고 나오는 유권자를 상대로 어느 후보를 선택하였는지를 조사하는 방법. 그외에 백화점, 영화관 등 특정한 서비스가 제공되는 장소를 이용하고 나오는 고객을 대상으로 조사하는 것도 출구 조사의 일종.
5. CLT 조사, 상점가 차단 조사(Central Location Test)
다양한 표본을 조사할 수 있는 상점가 등에서 조사장소를 설치하고 여기에 조사 대상자를 불러 모라 간단하게 조사하는 방법을 의미. CLT는 제품 시음, 시용, 광고물, 패키지 등의 간단한 테스트에 주로 이용.
6. 갱 서베이(Gang Survey/Hall Test)
조사 대상 집단을 일정한 장소에 모아서 조사자의 진행으로 질문지에 응답하도록 하는 방법. 조사원에 따른 바이어스를 줄일 수 있고 조사 내용에 대해 충분한 설명을 할 수 있는 시간 여유가 있어, 다양하고 복잡한 내용의 조사가 가능. 주로 제품이나 광고물의 정확하고 자세한 비교 평가에 이용. CLT와의 차이는 조사 대상자를 미리 선발한다는 것.
7. 패널 조사(Panel Survey)
유사한 특성을 가진 집단 또는 다양한 특성일지라도 고정된 조사 대상으로 패널(고정 응답자)로 구성하여 일정한 시간 간격을 두고 반복적으로 조사.
8. 온라인 조사(On-Line Survey)
특정 조사전문 기관에서 자체 패널을 보유하는 경우가 일반적이며 모든 유형의 사람과 모든 지리적 범위를 대상으로 하는 경우 많이 사용.
9. 모바일 조사(Mobile Survey)
10. 이메일/팩스 조사(E-mail/Fax Survey)
3. 정성조사 수행 방법
1. 집단 심층면접조사(Focus Group Interview)
초점집단면접법이라고도 하며 조사 대상자를 일정한 자격기준에 따라 6~12명 정도 선발하여 한 장소에 모이게 한 후 모더레이터의 진행 아래 조사목적과 관련된 토론을 정성적(qualitative) 조사 방법이며, 정량적 조사에 앞서 탐색조사 등에서 주로 사용.
2. 온라인 집단 심층면접조사(On-Line Focus Group Interview)
최근에는 온라인 상에서 FGI가 이루어지기도 함.
3. 개별 심층면접조사(In-Depth Interview)
조사 대상자를 개별적으로 심층면접하는 방법, 주제에 대한 전반적인가이드라인에 따라 인터뷰 형식으로 진행됨. 주로 전문가 조사에 많이 사용.
4. 가정방문조사(Home Visit Test)
가정 내에서 이루어지는 상황을 직접 관찰하며 파악할 수 있도록 가정 방문으로 조사 수행. 특정한 미션을 가정내에서 수행하도록 하고 관찰하는 경우가 일반적이며 동영상 등으로 수행 과정을 기록함.
5. 관찰조사/동반쇼핑(Shadowing/Town Watching)
백화점, 마트 등에서 소비자가 쇼핑하는 행태를 관찰하거나 지인을 가장하여 동반 쇼핑하며 관찰하는 조사.
6. 고객가장관찰조사(Mystery Shopping Obervation Survey)
조사자가 일반 고객으로 가장하여 매장을 방문하여 제품을 구매하면서 직원의 친절도, 외모, 판매기술 등을 평가하는 것. 직원의 서비스 수준과 사업장의 분위기 등을 평가하고, 개선점을 제안. 전화 및 온라인 상으로 이루어지는 경우도 있음.
7. 델파이 조사(Delphi Method)
전문가에게 설문 조사한 결과를 종합한 후 반복적으로 전문가에게 피드백하여 재조사하게 함. 일반적으로 2~5차례 정도 반복되며 불확실성이 높은 미래 수요 예측 등에 활용하는 방법.
8. 제품 유치 조사(Home Use/Placement Test)
제품 등을 가정으로 미리 발송하여 사용하게 한 후 평가하는 방법. 정성적 평가, 정량적 평가 모두 가능.
9. 에스노그라피(Ethnography)
현장조사, 관찰조사, 또는 참여관찰 등의 용어로 사용되며 참여관찰, 심층면담으로 집단 특성을 파악하는 문화인류학 조사연구 방법론. 최근에는 소비자 성향 분석을 토대로 마케팅, 신제품 개발, 디자인 등 다양한 분야에 활용.
참고문헌 : Big Data 시대에 반드시 알아야 할 기초 통계지식/Ubion
'통계학 > 기초통계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8차시 - 확률변수의 다양한 특성 (0) | 2020.02.12 |
---|---|
7차시 - 확률이론 (0) | 2020.02.10 |
5차시 - 다양하게 활용되는 조사방법1 (0) | 2020.02.09 |
4차시 - 다양하게 활용되는 자료측정방법 (0) | 2020.02.09 |
3차시 - 자료의 특성을 나타내는 대표적인 수치 (0) | 2020.02.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