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수치해석과 배열
1) 1차원 배열의 생성
배열이란?
- MATLAB이 데이터를 저장하고 다루기 위해 사용하는 기본적인 형태
- 행(Row)이나 열(Column), 또는 행과 열로 정렬된 수들의 나열


1차원 배열의 생성 방법
- 꺾은괄호 [ ] 안에 배열의 원소들을 직접 입력
- 외부 데이터 파일로부터 행렬을 읽어 들임
- MATLAB 명령어나 자신이 만든 m 파일을 이용하여 행렬을 생성
배열의 각 요소
- 수, 또는 미리 정의된 변수들, 함수들이 포함된 수학식 등이 될 수 있음.
알려진 수 집합을 행 벡터(Row vector)로 만들기
- 꺾은괄호 [ ] 안에 알려진 원소들을 기입하며, 원소와 원소는 공백이나 콤마(,)로 구분


열 벡터(Column vector)를 생성하는 세 가지 방법
- 꺾은괄호 [ ] 안에 배열의 원소들을 직접 입력
- 외부 데이터 파일로부터 행렬을 읽어 들임
- MATLAB 명령어나 자신이 만든 m 파일을 이용하여 행렬을 생성

일정한 간격으로 커지는 원소들을 가진 벡터는 콜론(:)을 사용하여 생성
- Variable _ Name(변수명) = [ m : q : n ]
- Variable _ Name(변수명) = m : q : n
- Variable _ Name(변수명) = ( m : q : n )

m-n이 정배수면?
- 최종원소는 n
m-n이 정배수가 아니면?
- n보다 작은 값이 됨.
n이 생략되면 원소는 1씩 증가
q가 음수인 경우 m은 반드시 n보다 커야 함.

2) 2차원 배열의 생성
2차원 배열의 생성 방법
- 행렬(Matrix)로도 불리며 다수의 행과 열을 가짐.
- 세미콜론(;)이나 엔터(Enter) 키는 새로운 행(Row)을 만드는 역할을 함.
- 원소들 끝에 세미콜론을 입력하거나 엔터 키를 누름으로써 원하는 행렬 생성

3) 배열 생성의 다양한 방법
- 배열 원소는 숫자 뿐만 아니라 계산이 가능한 수식, 변수도 가능
- linspace나 콜론(:)을 이용하여 원소를 자동으로 생성하는 것도 가능
콜론(:)을 이용하여 2차원 배열이 생성되는 과정

linspace을 이용하여 2차원 배열이 생성되는 과정

4) 배열 명령어
배열 명령어
- zeros(m, n), ones(m, n), eye(n) 명령들은 특수한 원소들을 갖는 배열을 만드는 데 사용

'수학 > 수치해석' 카테고리의 다른 글
3차시 - MATLAB과 2차원 그래프(2) (0) | 2020.03.03 |
---|---|
3차시 - MATLAB과 2차원 그래프(1) (0) | 2020.03.03 |
2차시 - MATLAB과 배열(2) (0) | 2020.02.27 |
1차시 - 수치해석과 MATLAB(2) (0) | 2020.02.25 |
1차시 - 수치해석과 MATLAB(1) (0) | 2020.02.25 |